지리산에서 연결하는 사람, 공간, 마을, 세계
사단법인 코드가 수여하는 ‘2020 커먼즈 어워드’를 받은 '지리산이음'을 소개합니다
-
-
-
제1회 커먼즈 어워드 시상식 : 2020 커먼즈 어워드
수상자: 네이버 학술정보팀(열림 부문), 지리산이음(다양성 부문), NIA공공데이터본부 및 코드포코리아(참여 부문)
-
해묵은 공직자 재산 공개... 이제는 변해야죠?
[배여운]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문제점이 많다. 투명한 공직 사회로 가는 길은 올바른 '공개'인데 무엇이 문제인 걸까?
-
코드포재팬 할 세키 인터뷰 (3)
일본은 지금까지 공공 서비스의 품질이 높았다는 인식도 걸림돌이 된다. 하지만 이제 디지털이 아니면 문제에 대응이 힘들다.
-
코드포재팬 할 세키 인터뷰 (2)
시빅해킹을 할 때 비개발자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. 문제 해결의 시작점은 기술이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다.
-
코드포재팬 할 세키 인터뷰 (1)
일본은 정부기관에서 질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기 위해 여전히 종이문서를 사용한다. 코드포재팬이 이 문제의 해결에 나섰다.
-
클레임리뷰와 커먼즈
클레임리뷰가 가진 협업적 생산의 효능이 인포데믹의 국면에서 재차 확증된다면, '아름다움'을 넘어선 커먼즈의 실용적 위상은 더욱 높아지지 않을까?
-
팬데믹 시대의 ‘우리’ 되기
현재의 위기 국면은 우리가 서로를 의심하면서도 상대방이 지침을 따를 것으로 기대할 수 밖에 없는 모순적인 일을 수행하도록 만든다
-
20/05/16 우리 눈에 띈 글들
팬데믹이 남길 불쾌한 골짜기, 미국의 감염병 정책을 바꾼 파우치 박사의 과거, 소프트뱅크의 이상한 투자, 그리고 중국의 영화판을 노리는 테크기업들
-
-
20/04/18 우리 눈에 띈 글들
포스트 팬데믹 사회는 바이러스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비접촉(contactless) 사회가 가능성이 높다. 그리고 그 준비는 이미 진행되고 있다.
-
[인터뷰] 대만 디지털 장관 오드리 탕 (3)
오드리 탕 인터뷰 시리즈의 마지막. 그가 개방성을 강조하는 이유, 그가 생각하는 공무원의 미래, 자신의 미래.
-
20/04/11 우리 눈에 띈 글들
사람들은 다가올 위험을 경고하며 공포감을 조성하는 전문가들을 좋아하지 않는다. 하지만 그들이 경고한 위험이 사실로 판명났을 때, 사람들은 그들을 찾는다.
-
[인터뷰] 대만 디지털 장관 오드리 탕 (2)
정부는 어떻게 민간의 전문가들을 참여시킬 수 있고, 그들은 무슨 동기로 정부의 작업에 참여하는가?